본문 바로가기
환경과학

대한민국의 신재생에너지

by 똑딱E 2023. 5. 27.

저번 포스팅에서 신재생에너지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국내에서는 어떤 신재생에너지가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해양에너지

첫째, 해수력 발전입니다. 대한민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형으로 인해 해양에너지 발전이 유리합니다. 연안에 해수력 발전소를 운영하여 해수력을 생산할 수 있으며, 주요한 해수력 발전소로는 인천의 신흥해수력발전소와 부산의 온천만 해수력발전소가 있습니다. 해수력 발전소는 조수로와 역류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작동시킵니다.

 

둘째, 파력 발전입니다. 대한민국은 파력 발전 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제주도를 중심으로 파력 발전소가 설치되어 파도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합니다. 예를 들어, 제주도의 김녕만 파력 발전소는 국내 최대 규모의 파력 발전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열에너지

지열 발전은 온천수나 지열열원을 통해 열을 추출하여 스팀을 생산하고, 이 스팀을 터빈에 넣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국내 대표적인 지열발전 지역인 제주도는 활성화된 화산활동으로 인해 지열열원이 풍부하며, 이를 활용하여 지열 발전소를 운영합니다. 경상북도 포항 지역도 지열 발전에 적합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열 발전은 지열열원의 안정성과 이용 가능성에 따라 특정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다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 개발을 통해 더 많은 지역에서 지열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매스

바이오매스는 유기성 생물체나 생물학적 자원으로부터 얻은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입니다. 주로 식물성 잔재물, 작물 폐기물, 가축 배설물, 목재 등을 이용하여 생산되며, 주요한 용도로는 열과 전력 생산, 연료 생산, 생물학적 재료 생산 등이 있습니다.

 

바이오매스 발전은 바이오매스를 연소시켜 열과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바이오매스 연소는 천연가스나 석탄 연소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생물질의 열값을 활용하여 발전합니다. 또 바이오매스는 액체 연료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생물질을 발효시켜 생산되는 생물학적 연료는 주로 생물디젤, 생물가스, 에탄올 등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바이오매스는 생분해성 재료를 생산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생분해성 플라스틱, 비료, 축산 먹이 등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매스의 장단점

바이오매스는 우선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으로써 식물성 자원이나 유기성 폐기물 등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온실 가스 감축에도 도움이 되며, 작물 폐기물이나 가축 배설물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활용하여 자원을 회수하고 환경적으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바이오매스 활용에는 몇 가지 단점도 있습니다. 바이오매스 생산에 사용되는 작물이 식량 생산에 사용될 수 있는 경쟁 자원과 충돌할 수 있습니다. 또 바이오매스 생산은 작물 수확이나 유기성 폐기물의 발생에 의존하기 때문에 공급 안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바이오매스 발전은 여전히 화석 연료와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경제적인 한계와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폐기물 에너지

대한민국에서 폐기물 에너지화는 폐기물의 양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에너지를 생산하여 지속 가능한 자원 활용과 환경 보호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한 폐기물 에너지화 시설과 활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폐기물 발전소는 폐기물을 연소하여 열과 전기를 생산합니다. 그렇게 발생한 열로 보일러를 가동하여 전기를 생산합니다. 이를 통해 폐기물의 가치를 에너지로 전환하고 동시에 폐기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폐기물 가스화는 폐기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가스를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생성된 가스는 연소 또는 생물학적 처리를 통해 열과 전기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폐기물 처리 시 생물분해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하여 발전하는 시설도 있습니다. 이러한 시설에서는 폐기물을 발효시켜 생물학적인 과정을 통해 메탄가스를 생산하고, 이를 연료로 사용하여 발전합니다. 일부 시설에서는 폐기물을 화석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하는 방식으로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폐기물과 화석 연료를 적절히 혼합하여 연소시킴으로써 폐기물의 가치를 활용하고 환경적인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한민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여기에 소개된 것들 외에도 익히 알려진 태양광 에너지와 풍력에너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신재생 에너지만으로 전력수요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입니다. 신재생 에너지 효율 개선 및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 앞으로 더 많은 전력이 신재생에너지로부터 공급되기를 바라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환경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 시스템 이론  (0) 2023.06.01
생물다양성이란?  (0) 2023.05.30
신재생에너지의 종류와 장단점  (0) 2023.05.26
지속 가능한 소비  (0) 2023.05.25
탄소세  (0) 2023.05.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