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학에서는 기후, 수질 등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모델링 기법을 사용합니다. 오늘은 환경과학 모델들은 어떤 것들이 있고 그중 기후모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환경과학 모델
환경과학 모델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기후 모델, 대기 오염 모델, 수질 모델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기후 모델은 지구 시스템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소들인 대기, 해양, 땅, 얼음 등을 수치적으로 모사하는 수학적 모델을 뜻합니다. 이 모델은 과거의 기후 데이터를 바탕으로 물리학적 원리를 사용하여, 태양 복사, 대류와 대류권 화학반응, 바람, 구름 등 다양한 환경 요소들을 포함하여 기후 시스템의 동작을 모사합니다. 기후 모델은 지구 온난화, 엘니뇨와 라니냐와 같은 기후 변화를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대기 오염 모델은 대기 중 오염 물질의 배출, 확산과 변환, 미세물질 농도 등을 예측하는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대기 중 물리적, 화학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공기 중 오염 물질의 확산과 반응 그리고 오염 물질의 분포와 농도를 예측합니다. 대기 오염 모델은 오염원의 효과 평가, 대기 질 관리, 대기 오염 사건 예측 등 다양한 방면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수질 모델은 강, 호수, 해양 등의 수질 변화를 모델링하는 도구입니다. 이 모델은 물체의 수질 요소, 예를 들어 온도, pH, 산소 농도 등과 오염 물질인 유기물, 질소, 인 등의 이동, 변환, 농도 등을 예측합니다. 수질 모델은 수생 생태계 변화 예측, 수질 관리, 오염원 평가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들은 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학적 원리와 물리학적 과정을 적용하여 지구 환경 시스템의 동작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들 모델의 정확성은 입력 데이터의 품질, 모델 파라미터의 정합성, 모델 구조 등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데이터 수집, 분석, 모델 검증 등 다양한 단계를 거쳐야 완성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후모델
기후모델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대표적인 기후모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CCSM (Community Climate System Model), CCSM은 미국 기후 모델 개발 그룹인 NCAR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에서 개발한 대표적인 기후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대기, 해양, 땅, 얼음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며, 태양 복사, 대류, 바람, 구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기후 변동을 모델링합니다.
GFDL-CM (Geophysical Fluid Dynamics Laboratory Coupled Model), GFDL-CM은 미국 기후 모델 개발 그룹인 GFDL에서 개발한 모델로, 대기, 해양, 땅, 얼음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기후를 모델링합니다. 이 모델은 기후 변동, 태풍, 엘니뇨 등을 예측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HadCM3 (Hadley Centre Coupled Model, version 3), HadCM3은 영국 기후 연구소인 Hadley Centre에서 개발한 대표적인 기후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대기, 해양, 땅, 얼음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며, 온실 가스 농도의 변화, 태양 복사, 대류 등을 고려하여 기후 변화를 예측합니다.
CESM (Community Earth System Model), CESM은 NCAR과 다른 기관들이 협력하여 개발한 다중 구성 기후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대기, 해양, 땅, 얼음뿐만 아니라 화학반응, 생물학적 상호작용 등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지구 시스템의 다양한 측면을 모델링합니다.
ENSO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모델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엘니뇨와 라니냐 현상을 예측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된 모델입니다. ENSO 모델은 대기-해양 상호작용을 재현하고, 태평양의 열과 염분 분포, 해류, 바람 등을 고려하여 엘니뇨와 라니냐의 발생과 진행을 모델링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기후 모델이 있으며, 모델링 목적과 연구 집단의 선호도, 모델의 정확도 등에 따라 사용되는 모델들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모델들은 기후 예측, 기후 변동 연구, 환경 변화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향후 지구의 기후변화로 인한 수많은 악재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보다 예측가능하고 정확한 모델들의 개발과 평가가 필요할 것입니다.
'환경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 오프셋 프로세스와 장단점 (0) | 2023.05.25 |
---|---|
탄소 오프셋(Carbon offset)이란? (0) | 2023.05.24 |
탄소배출 규제와 탄소중립 (0) | 2023.05.23 |
엘니뇨와 라니냐의 차이점, 발생 원인과 영향 (0) | 2023.05.22 |
환경과학이란? 환경과학의 활용 분야 (0) | 2023.05.21 |
댓글